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작년 LA 증오범죄 21년만에 최대…인권위원회 929건 보고

지난해 LA카운티 내 증오범죄가 21년 만에 사상 최대로 집계됐다.     LA카운티 인권위원회가 29일 발표한 2022년 증오범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카운티 내에서 발생한 증오범죄는 929건이다. 이는 2001년 기록된 1031건 이후 가장 높은 규모다. 2021년 발생한 증오범죄는 790건으로, 1년 만에 18% 급증했다.   이번 통계를 보면 인종 관련 증오범죄 케이스가 총 545건이 발생해 최다 건수를 기록했다. 그러나 증감률만 놓고 보면 종교 관련 증오범죄가 전년 대비 41%가 늘어나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건수로는 156건이 보고됐다.   특히 전체 케이스의 83%가 유대인을 타깃으로 한 범죄로 파악됐다.     게이, 레즈비언, 트랜스젠더 등 성소수자 관련 증오범죄도 2021년 143건에서 지난해 171건으로 20%가 뛰었다. 성소수자 증오범죄의 경우 게이를 대상으로 한 범죄가 81%였으며, 트랜스젠더를 향한 케이스가 44건으로 집계됐다.     당국에 따르면 성소수자 증오범죄의 경우 다른 카테고리에 비해 폭력적인 것으로 보고됐다.   이민자를 향한 혐오 발언 신고도 총 94건이 접수되며 전년보다 10건(12%) 증가한 것으로 보고됐다. 이 중 55%는 피해자가 라틴계였으며, 25%는 아시안을 대상으로 발생했다.     인종 관련 증오범죄의 경우 흑인이 2021년 219건에서 지난해 294건이 접수됐고, 라틴계는 117건에서 121건으로 파악됐다.     반면 아시안 케이스는 총 61건으로, 전년 대비 25%(81건) 감소했다.   인종별로는 중국인이 26%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한국계, 필리핀계, 일본계가 5%(약 3명)로 두 번째로 높았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공개된 한인 케이스의 경우 지난해 6월 29일 LA한인타운에서 한 용의자가 한인 남성에게 혐오 발언을 하고 갖고 있던 스케이트보드로 피해자의 차량을 훼손하는 사건도 포함됐다.   아시안 증오범죄 감소에 대해 LA카운티인권위원회 로빈 토마 국장은 지난 2019년부터 진행된 증오범죄 방지 캠페인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인식이 개선됐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토마 국장은 “카운티 곳곳에 다양한 문화가 담긴 벽화를 그리고 있으며 현재까지 약 1만 개의 증오범죄 대응 및 예방 관련 포스터 전달, 핫라인 211을 통해 증오범죄 보고 및 기록을 하고 있다”며 “각자의 문화를 알아감에 따라 증오가 아닌 존중과 이해로 싹이 튼다”고 설명했다.     블레이크 차우 LA경찰국(LAPD) 부국장은 “LA시에서만 증오범죄(crime)가 11%, 증오사건(incident)이 30% 증가했다”며 “여러분의 신고가 가장 중요하다”며 “신고 없이는 범죄를 기록할 수도, 처벌할 수도 없다”며 “익명 신고가 가능하니 더 나은 지역사회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꼭 신고를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증오범죄 관련 신고는 핫라인 211 또는 STOP AAPI 웹사이트(stopAAPIhate.org/report-hate/)를 통해 신고할 수 있다.   김예진 기자 kim.yejin3@koreadaily.com증오범죄 la카운티 증오범죄 대응 증오범죄 통계 la카운티인권위원회 로빈

2023-11-29

증오범죄 '고무줄 통계' 법무부·FBI 30배 차이

바이든 행정부가 연방 차원에서 증오범죄 대응 강화를 천명하고 나섰지만 신뢰할만한 통계조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연방법무부와 연방수사국(FBI)이 집계한 증오범죄 피해사례가 30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줬다. 학계와 민권단체는 지방정부와 연방정부 간 증오범죄 피해사례 통계를 통합하는 등 보완작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20일 정치전문매체 ‘더힐’은 2021년 기준 FBI가 증오범죄 피해사례를 접수한 뒤 보고한 건수는 7300건에 불과하지만, 2019년 기준 연방 법무부가 증오범죄 사례를 취합해 보고한 통계는 30만 건 이상이라고 보도했다. 현재 FBI는 전국 법집행기관이 보고한 증오범죄를, 법무부는 국가범죄피해조사(NCVS) 사례를 취합한다.   더힐은 팬데믹 기간 아시안을 대상으로 증오범죄가 급증했지만 FBI가 집계한 피해사례는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꼬집었다. 실제 앨라배마, 일리노이, 뉴욕, 캘리포니아 등 대도시를 둔 주에서 증오범죄가 끊이지 않았음에도 지방경찰 및 FBI가 보고한 사례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증오범죄 및 극단주의 반대단체인 ‘GPAHE’ 에이디 베이리치 공동대표는 “현실적으로 증오범죄가 얼마나 벌어졌는지 그 실상을 모른다”며 “만약 우리가 피해사례를 제대로 취합했다면 모두가 놀라 넘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매체는 전문가들을 인용해 FBI 등 연방정부를 대표하는 수사기관이 증오범죄 피해사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결과, 연방 차원에서 추진하는 증오범죄 대응 정책과 전략이 현실과 동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FBI가 증오범죄 사례를 제대로 취합하지 못하는 것은 시스템의 문제기도 하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연방 보고시스템을 개선했음에도 전국 법집행기관(1만5000여곳) 3곳 중 1곳 이상은 증오범죄를 제대로 보고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CNN도 2020년 FBI에 증오범죄 현황을 보고하지 않은 사법기관이 3000여곳에 달한다고 전했다.   결국 FBI 보고서가 증오범죄 현황을 포괄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지만, 지방정부 법집행기관이 FBI에 자료를 제출할 의무가 없어 현실과 동떨어진 통계가 나온 셈이다. 실제 앨라배마주 432곳에 달하는 법집행기관은 FBI에 증오범죄 발생 건수로 2019년 0건, 2020년 36건 이하로만 보고했다.     반면 캘스테이트샌버나디노 ‘증오 및 극단주의 연구센터’가 자체 집계한 2020~2021년 미국 10대 도시의 증오범죄는 40%나 늘었다. 이런 통계 결과 차이에 대해 브라이언 레빈 교수는 “각 지역 법집행기관 대부분이 FBI에 증오범죄는 ‘0건’이라고 통보한다”고 꼬집었다.   학계와 민권단체는 연방 의회가 법률을 제정해 전국 법집행기관이 증오범죄를 FBI에 의무적으로 보고하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방 차원에서 증오범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제대로 된 현실 파악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한편 아시아태평양계 민권단체인 ‘스톱 AAPI 헤이트’의 신시아 최 공동대표는 혐오발언 등 비폭력 증오범죄도 FBI 등 연방정부가 심각하게 다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공동대표는 “전국의 공공장소에서 ‘너희 나라로 돌아가라’ 등의 말이 빈번하게 들린다”며 “선출직 정치인 일부도 (표를 얻기 위해) 증오를 부추기고 잘못된 정보를 퍼트린다”고 개탄했다. 김형재 기자증오범죄 법무부 증오범죄 피해사례 증오범죄 고무줄 증오범죄 대응

2023-01-20

[사설] ‘증오범죄 대응’ 협의체 만들자

한인 시니어를 위한 ‘증오범죄 예방 세미나’가 내일(30일) 나성영락교회에서 열린다. 전문가들이 참석해 증오범죄 유형과 예방법, 신고 요령 그리고 정신건강 상담까지 진행한다고 한다. 이번 세미나는 한인 비영리단체와 교회, 경찰 관계자, 의료계까지 함께 나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증오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한인사회 공감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증오범죄는 한인 시니어들에게 코로나 바이러스만큼 두려운 것이었다. 하루가 멀다고 벌어졌던 무지막지한 폭력 범죄는 공포의 대상이었다. ‘나도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불안감에 외출조차 꺼렸다. 이로 인해 병원 진료나 생필품 구매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한 단체의 집계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3월부터 2년 간 전국에서 발생한 아시아계 대상 증오범죄는 1만1467건에 달한다. 매일 16건 가량 발생한 셈이다. 그나마 신고가 접수된 것만 이 정도 규모다.  LA경찰국(LAPD) 관할 지역만 보면 올해 상반기 349건이 발생했다. 2021년의 299건, 2020년의 171건에 비해 역시 크게 늘었다.     다행히 하반기 들어 코로나 팬데믹이 진정 기미를 보이면서 증오범죄도 줄고 있다. 그러나 위험성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언제 다시 고개를 들지 모른다.     증오범죄는 반감을 기반으로 하는 까닭에 작은 불씨에도 큰 폭발력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중국이 코로나 바이러스를 퍼트렸다’는 확인 안 된 소문 하나가 아시아계에 대한 증오범죄 급증의 원인이 된 것이 이를 증명한다.          한인사회도 재발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한인 단체들이 모여 증오범죄 예방과 대응을 위한 협의체라도 만들었으면 한다. 사설 증오범죄 협의체 증오범죄 대응 증오범죄 예방 증오범죄 유형

2022-09-28

“증오범죄·노인 정신건강 지원 강화해야”

 뉴욕시의회가 아시안 증오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뉴욕시 관련 예산을 늘려야 한다고 권고했다. 특히 아시안 노인들이 증오범죄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가 큰 만큼 정신건강 지원예산도 늘릴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시정부 서비스나 문서에 대한 언어지원, 비시민권자 뉴욕시 투표 독려, 노숙자 셸터 확대 등에도 예산을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지난 2일 시의회가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의 2022~2023회계연도 예비 행정예산안을 분석·검토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시의회는 증오범죄 대응을 위해 500만 달러 규모의 추가 자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시의회는 “2019년 증오범죄방지국(OPHC)을 설치했지만, 증오범죄는 여전하며 아시안과 유대인 커뮤니티에 집중됐다”고 설명했다.   증오범죄 대상으로 노인들이 타겟이 되고있는 만큼, 지역사회 노인센터에 정신건강 담당 의사를 배치해 상담시간을 두 배로 늘려야 한다고도 시의회는 전했다. 노인 외에도 병원기금조성, 아웃리치 서비스 확대 등을 포함해 6100만 달러가 더 필요하다고 추정했다.   뉴욕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나 베니핏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려면 500만 달러를 추가 투자해 언어접근성도 높여야 한다는 평가가 나왔다. 구체적으로는 ▶시 기관 언어서비스 확대 ▶커뮤니티 통역 은행을 통해 번역품질 개선 ▶노동자 소유 협동조합을 개발, 이민자 커뮤니티에 고용 및 비즈니스 기회 제공 등의 해법이 제시됐다. 2023년부터 비시민권자도 뉴욕시 로컬투표가 가능해진 부분을 알리는 예산도 확보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질적인 문제인 주택 부족과 노숙자 지원 예산도 확대해야 한다고 시의회는 판단했다.     주택 보유자에 대한 재산세 환급(9000만 달러), 호텔의 노숙인 셸터 전환(4940만 달러), 가정폭력 보호 셸터 확대(4160만 달러) 등이 필요할 것으로 봤다. 이외에도 ▶도심경관 개선 ▶사법시스템 공정성과 감독 지원 ▶청년고용과 성인교육 확대 등에 예산을 더 투입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김은별 기자증오범죄 정신건강 정신건강 지원예산 아시안 증오범죄 증오범죄 대응

2022-04-0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